경제용어사전

하르츠개혁

[Hartz Reforms]

독일의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를 맡고 있던 2002년 2월 구성된 노동시장 개혁위원회인 하르츠위원회가 제시한 4단계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말한다. 설립 당시 폭스바겐의 담당 이사였던 피터 하르츠(Peter Hartz)가 위원장을 맡아 ‘하르츠위원회’로 불리게 됐다. 하르츠위원회는 같은 해 8월 4단계 노동시장 개혁 방안을 내놓았다.
당시 독일 정부의 사회복지 및 노동 정책인 ‘어젠다 2010(Agenda 2010)’의 하나로 2003년 1월부터 시행되었다.
주 내용은 ▷노동시장 서비스와 노동정책의 능률 및 실효성 제고 ▷실업자들의 노동시장 재유입 유도 ▷노동시장 탈규제로 고용 수요 제고 등에 초점을 맞췄다

  • 후입선출법[last in, first out, LIFO]

    최근에 구입, 제조된 물품이 먼저 판매된 것으로 보는 재고자산 평가방법. 물가상승시에는 L...

  • 하우스 에이전시[house agency]

    광고 대행사 가운데 특정 광고주의 자본하에 있는 것으로 그 기업의 경영지배를 받는 일종의 ...

  • 혜민공정[惠民工程]

    중국에서 에너지절감제품을 구매할 때 정부보조금을 지원하는 정책. 예전 중국의 가전제품 보조...

  • 화폐소득[money income]

    오직 화폐로만 측정된 소득. 이는 실질소득과 대조되는데, 실질소득은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