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계비용

[marginal cost]

재화나 서비스 한 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때 필요한 총비용의 증가분을 말한다. 기업은 수입에서 비용을 뺀 이윤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생산량을 결정할 때 한계비용과 한계수입이 일치할 때까지 생산을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그래야 이윤이 최대한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한계수입(marginal income)은 한 단위를 추가로 판매할 때 얻어지는 총수입의 증가분으로 일반적으로 시장 가격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통의 경우 기업이 한계비용보다 가격이 낮은 데도 생산을 계속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관련어

  • 현금흐름보상비율

    현금수입으로 이자 및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비율이 높을수록 양호함...

  • 황반주름

    황반 위에 딱딱한 섬유성 막이 자라나는 질환으로 망막전막증이라고도 부른다. 망막전막...

  • 후공정 외주 기업[Outsourced Semiconductor Assembly and Test, OAST]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 외주업체로 어셈블리 기업이라고도 부른다. 반도체 패키징은 가...

  • 핵주권

    독자적인 개발을 통해 핵 능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으로, 핵 에너지의 보유 및 농축, 재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