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자본경상이익률

[ordinary income to total assets]

총자본경상이익률은 기업에 투하운용된 총자본이 어느 정도 수익을 올렸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익성 분석의 대표적 비율이다.
총자본경상이익률=(경상이익/총자본)x100
한편 이 비율의 변동요인을 좀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볼 수 있다.

첫째는 매출액경상이익률총자본회전율과의 관계에 의한 분석방법이다.
- 총자본경상이익률=매출액경상이익률x총자본회전율 - 경상이익/총자본=(경상이익/매출액)x(매출액/총자본)
따라서 매출액경상이익률은 높으나 총자본회전율이 낮은 경우에는 판매마진은 높으나 기업의 판매활동이 부진하였음을 나타낸다.

둘째는 자기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비율의 관계에 의한 분석방법이다. 즉, 자기자본경상이익률이 비록 높더라도 타인자본의존도가 높은 기업에서는 총자본이익률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총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이익률

  • 첨단재생의료법

    줄기세포 치료와 유전자 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연구와 산업화를 지원 등을 골자로 하는...

  • 채권추심업무[collection service]

    금융기관과 카드회사,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의 불량채권을 대신 회수해주는 업무로서 우리...

  • 치료목적 사용승인[therapeutic use approval, conditional approval]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중대한 상황이나 현존하는 치료 방법이 없는 질환에 대해 원칙적으로...

  • 총자본투자효율[productivity of capital, gross value-added to total assets]

    기업에 투자된 총자본이 1년 동안에 어느 정도의 부가가치를 산출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