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공급

[aggregate supply]

거시 경제학에서 주어진 기간에 각 가격수준에서 시장에 제공되는 재화와 용역의 총합계. 총생산이라고도 한다. 공급측 경제학에서 중심적 개념은 소비자와 공급자의 상품을 포함해서 주어진 기간중 각 소득수준에서 요구되는 경제 내의 재화·용역의 총합계로 정의된다. 총수요는 또한 총지출이라고도 한다. 총공급곡선은 가격수준과 기업이 제공하고자 하는 산출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 치료목적 사용승인[therapeutic use approval, conditional approval]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는 중대한 상황이나 현존하는 치료 방법이 없는 질환에 대해 원칙적으로...

  • 차등의결권 주식[dual class right]

    일반 주식보다 의결권이 몇배 높은 주식으로 최대주주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제도. 창업주...

  •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ROA]

    수익성을 살펴보는 대표적인 지표로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충자산이익...

  • 차량용 반도체[automotive semicondctor]

    자동차의 파워트레인(엔진·변속기 등 동력전달체계)이나 계기판 등 자동차 전자장치나 인포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