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급과 수요의 탄력성

[elasticity of supply and demand]

공급의 탄력성은 가격변화에 대한 공급량의 반응도를 말한다. 공급량의 변화율을 가격변화율로 나누는 방식으로 계산된다. 탄력도가 1을 초과할 때 탄력적이라고 하고 1 미만일 때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공급이 탄력적일수록 가격의 변화가 생산량의 증가에 더욱더 많은 영향을 끼친다.

한편 수요의 탄력성은 가격변화에 대한 구매자의 반응도로서, 가격변화율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율로 정의된다. 사치품의 경우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가 크게 감소하는데 그 이유는 사치품이 필수품이 아니며, 또한 소비를 뒤로 미룰 수도 있기 때문이다.

  • 공판준비기일

    향후 공판이 집중적·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 미리 검찰과 변호인이 쟁점사항을 정리하...

  • 공정가열로[fired process heater]

    내화물로 둘러싼 연소실 또는 가열로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킬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

  • 공기업선진화방안

    공기업 구조개혁을 위해 이명박 정부가 2008년 8월 마련한 것으로, 민영화를 비롯 통폐합...

  • 국방개혁 2020

    국방운영체계 선진화, 군 구조 · 전력체계 및 3군 균형발전, 병영문화 발전 문민화 등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