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식 파킹

[stock parking]

기업을 인수하려는 회사가 우호적인 관계에 있는 제3자에게 인수 목표 회사의 주식을 매입해서 일정 기간 보유토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인수하기 전 믿을 만한 제3자와 구두나 문서로 인수대상기업의 주식매매에 대해 일종의 이면계약을 맺어 두는 것이다. 파킹을 하는 이유는 기업을 인수하기 위해 공개적으로 주식을 매입할 경우 주가가 높아져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주식 파킹을 해두면 인수기업은 본격적인 지분확보에 나서면서 이 주식을 미리 약속된 가격에 사들여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만큼 인수대상기업의 주식을 미리 안전하고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은밀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잘 드러나지 않아 불법시비를 불러일으킬 소지가 많다.

  • 주주의 공익권

    주주는 회사에 대하여 공익권과 자익권을 가진다. 공익권이란 주주의 공동이익을 위하여 회사의...

  • 정조시간[stand of tide, platform tide]

    바다에서 밀물과 썰물이 바뀌는 과정에서 조류가 정지한 것처럼 느려지는 때를 말한다. 대략 ...

  • 재화용역세[Goods and Services Tax, GST]

    말레이시아 정부가 2015년 4월 도입한 세금체계. 제조사, 도매업자, 소매업자, 소비...

  • 자산담보부 대출[asset-backed loan, ABL]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의 일종. 일반적인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과 다른 점은 납품업체가 외상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