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율운항선박

[Autonomous Ship]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센서, 위성항법장치(GPS),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항해, 충돌 회피, 정박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박을 뜻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자율운항선박을 수동운항, 원격지원, 원격운항, 완전 자율운항의 4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자율운항 기술이 도입되면 해양사고를 줄이고 연료 효율성을 높이는 등 경제적·환경적 이점이 기대된다. 특히 AI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 항로를 설정하고, IoT 센서를 활용하여 주변 환경과 선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위성항법시스템(GPS, GNSS)을 이용해 정밀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며, 자동제어 시스템이 속도 조절과 방향 변경, 정박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법적 규제 미비, 사이버 보안 문제, 기술적 신뢰성 확보, 긴급 상황 대응 방안 마련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현재 한국, 일본, 노르웨이 등 주요 국가들은 자율운항선박의 연구개발과 시험 운항을 활발히 진행 중이며, 2030년경 본격적인 상용화가 예상된다.

  • 재정분권

    중앙정부가 가진 조세와 지출에 관한 의사결정권을 포함한 재정적 권한과 책임을 지방정부로 이...

  • 자동조기상환 평가일

    자동조기상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기초자산 가격(자동조기상환 평가가격)을 확정하는 날.3~...

  • 지방채[municipal bonds, local government bonds]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 발행기관은 특별시·...

  • 전문연구요원

    이공계 석사이상의 학위를 취득한 사람이 병무청장이 선정한 지정업체에서 3년간 일함으로써 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