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종합수지

[balance of overall payments check]

국제수지 구성항목 중 경상수지, 장기자본수지, 단기자본수지를 합한 수지 총괄이 종합수지다.

경상수지는 무역수지(외국과의 수출입 차액)에 용선료와 여행수지 등 외국과의 서비스 결과에 따른 수지(무역외수지)와 개인의 증여금의 수지(이전수지)를 합한 것이 경상수지다. 경상수지에 1년 이상의 나라간 자본유출입(장기자본수지)을 합한 것이 기초수지이며 이에 단기자본수지의 오차와 누락을 더한 것이 종합수지다. 여기서 단기자본수지는 1년 미만의 나라간 자본유출입에서 외화준비금 증감과 정부, 중앙은행 및 외국환은행의 대외 단기유동자산·부채의 변동을 합계한 수지(금융계정)를 제외한 것이다.

금융계정은 대외지급 능력 상황을 나타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국제수지의 흑자·적자를 표시하는 기준으로 채용하고 있다. 이 기준은 금융계정 이외에 경상수지와 장기·단기자본수지를 합계한 종합수지와 일치한다. 따라서 종합수지는 국제수지가 흑자인가 적자인가를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지표다.

  •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

    제품 및 서비스의 원료 채취 단계에서부터 제조, 유통, 사용 및 폐기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

  • 정부 간 거래[government to government, G2G]

    양국 정부가 계약 주체로서 계약의 체결 및 이행, 사후관리 등을 보증한다.

  • 자금의 원천[source of funds]

    자금운용을 위한 자금이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 조달되는가 하는 것이 자금원천이고 그 자금이 ...

  • 정상가격사전승인제

    국가간 세율이 다른 점을 이용, 기업이 외국에 있는 자회사에 상품을 팔면서 정상가보다 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