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가지수옵션

[stock index warrants]

옵션이란 특정 대상물을 사전에 정한 시점(거래최종일)에 정한 가격(권리행사가격)으로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거래되는 대상물이 주가지수이면 주가지수옵션, 개별주식이면 주식옵션이 된다. 살 수 있는 권리는 콜옵션, 팔 수 있는 권리는 풋옵션으로 부른다.

옵션을 사려는 사람(매수자)은 파는 사람(매도자)에게 거래대금(프리미엄)을 주고 옵션을 취득하게 된다. 옵션은 권리라는 측면에서 선물이나 현물과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르다. 자신에게 유리하면 행사하고 불리하면 프리미엄만큼 손해를 보고 행사하지 않으면 된다. 예컨대 주가지수 콜옵션 매수자는 현재가격이 권리행사가격보다 높을 경우엔 권리를 행사해 시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지수를 사들여 현재가격으로 팔 수 있게 된다. 시가가 권리행사가격보다 낮으면 살 권리를 행사하지 않아도 된다.

  • 중공사막방식

    사람의 혈액을 걸러주는 인공신장 투석기의 필터를 사용한 정수방식. 중공사는 대나무같이 중간...

  • 주당 평균 취업시간

    1주일간 실제로 일한 시간을 뜻한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1980년대에는 55시간 안팎이...

  • 자산담보부증권[asset-backed securities, ABS]

    금융회사나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회사채, 대출채권, 외상매출채권 등 각종 자산을 ...

  • 증권회사[securities companies]

    증권거래법에 의거, 기획재정부 장관의 허가를 받아 증권업을 주업무로 하는 주식회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