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조기경보

 

조기경보란 보험사들에 대한 보험감독원의 일종의 ‘경고’다. 보감원은 매년 결산이 끝나면 크게 생산성·성장성· 안정성·수익성 등 4개 분야를 놓고 다시 생보사는 12개 항목, 손보는 14개 항목씩 나눠 경영평가를 한다. 이 평가에서 특정 항목이 기준치(대개는 업계평균)보다 크게 모자랄 경우 해당 보험사에 대해 고객 보호를 위해 빨리 경영을 개선하도록 노력하라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이는 물론 징벌 성격은 아니지만 이를 받고도 가시적인 성과가 보이지 않을 경우 나중에 본격적인 경영평가에서 불이익을 당하게 된다.

  • 조건부 품목허가

    임상 2상 자료를 바탕으로 의약품 시판을 허가하는 제도다. 생명을 위협하거나 한 번...

  • 잠복기 감염[latent infection]

    몸 안에 들어온 바이러스가 증식을 거쳐 실제 질병을 일으킬 때까지의 기간을 잠복기라고 한다...

  • 장기요양급여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6개월 이상 동안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렵다고 인...

  • 조정자기자본비율

    금융기관 특성상 단순자기 자본비율만을 통해선 자본의 적정성을 충분히 평가하기가 힘들다.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