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할인율

[rediscount rate]

중앙은행이 시중은행에 대출할 경우에 적용하는 금리를 말한다. 시중은행이 할인한 어음을 중앙은행이 다시 할인할 때 적용되는 할인율로 공정할인율이라고도 한다. 중앙은행의 재할인율이 높아지면 차입금리가 높아져 금융기관의 차입이 억제되고 이에 따라 금융기관의 매출 및 투자가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이 금리를 낮추면 은행들은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 시중에 돈을 더 많이 풀 수 있게 된다. 개인은 은행에서 빌리고 은행은 중앙은행에서 다시 빌린다는 점에서 재할인이라고 한다. 일반대출 금리 등을 직접 떨어뜨리는 기준금리 인하와 달리 효과가 유동성 확대로 제한된다. 보통 재할인율은 기준금리보다 훨씬 높다. 중앙은행은 그때그때의 금융정세에 따라 재할인율을 변경함으로써 자금수급의 조정과 경기변동을 조절한다.

  • 재평가적립금

    자산재평가법의 규정에 의하여 자산을 재평가하여 구 장부가액과의 차액을 적립하는 것을 재평가...

  • 전신환매입률

    전신에 의하여 1일 이내에 자금이 결제될 때 적용되는 환율로서 재외본지점 및 거래은행망의 ...

  • 중합체[polymer]

    분자를 2개 이상 결합해 분자량이 큰 화합물이 됐기 때문에 생긴 명칭으로 단위체(monom...

  • 지분금융[equity financing]

    부채금융과 반대로 기업에서 주식과 같은 소유지분을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