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재량근로제

 

주 52시간 내에서 근로시간을 직원 스스로가 재량껏 결정하는 제도.

연구직이나 기자 방송사 PD, 직급이 높은 관리직 등 업무의 특성상 근로자가 얼마나 일했고 어떻게 일했는지 사용자가 뚜렷이 구분할 수 없을 때 노사가 서로 합의해 일정한 시간을 근로한 것으로 보는 제도이다.

기자의 경우 회사에 출근하지 않고도 취재를 위해 거의 밖에서 일하기 때문에 회사측이 근로자와 ‘하루에 몇 시간 일한 것으로 한다’고 합의하는 것이다. 신문 방송, 신상품 연구, 디자인업무 등에 적합하다.

  • 좀비 PC[Zombie PC]

    바이러스에 감염됐지만 스스로 인지하지 못한채 스팸을 보내는 등 원격 조정당하는 PC를 말한...

  •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

    지주, 신사 계급을 뜻하는 '젠트리'(gentry)에서 파생된 단어로, 재개발 등으로 낙후...

  •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

    석유 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2차전지를 동력원으로 전기 모터를 구동하여 움직이는 자...

  • 전사인자

    유전자를 이루는 물질이 핵산에 붙어 특정유전자가 발현되거나 억제되도록 하는 유전자 발현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