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봉권
[官封券]관봉권(官封券)은 화폐의 액수와 상태에 이상이 없음을 보증하기 위해 지폐 뭉치를 띠지로 묶고 비닐로 포장한 것을 말한다. ‘관봉(官封)’이라는 명칭은 과거 관청에서 서류를 봉인하던 관행에서 비롯됐다.
관봉권은 제조 과정과 유통 경로에 따라 제조권과 사용권 두 가지로 나뉜다.
제조권은 한국조폐공사가 새로 제조해 한국은행에 공급하는 신권이고, 사용권은 시중은행에서 회수된 화폐 가운데 한국은행 검수를 거쳐 재사용되는 지폐를 말한다.
관봉권은 띠지와 비닐 포장, 인증 스티커로 이뤄진다.
띠지에는 검수 날짜와 시간, 담당자 식별 코드, 검수 기계 번호, 지폐 일련번호 등이 기재된다.
비닐 포장은 지폐를 밀봉·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증 스티커는 포장이 정식 절차에 따라 완료됐음을 증명한다.
관봉권 띠지는 자금의 출처와 이동 경로를 밝히는 핵심 단서다. 띠지의 기록만으로도 해당 화폐가 언제, 어디서, 누구에 의해 처리됐는지 추적할 수 있어 금융 수사에서 중요한 증거물로 쓰인다.
-
기업결합
각 기업이 경쟁을 제한하거나 배제하여 시장의 지배를 강화하고 경영을 합리화 하여 기업을 유...
-
가계신용 잔액
은행권의 가계대출에 제2금융권 가계대출, 판매신용(할부금융과 신용카드 사용액)을 합친 것이...
-
긴급사용승인
감염병 대유행 상황에서 긴급하게 필요한 약을 대상으로 정부가 공식 허가를 면제, 한시적으로...
-
극자외선 노광장비[extreme ultraviolet lithography equipment, EUV lithography equipment]
극자외선을 이용하여 반도체를 생산하는 장비. 노광은 빛으로 웨이퍼에 회로를 새기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