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용적률

[floor area ratio, FAR]

건축물의 연면적(건축물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을 대지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지하층 및 주차용으로 쓰이는 바닥면적, 지상층 주차장, 주민공동시설면적,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 안전구역 면적은 연면적에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300㎡ 대지에 바닥면적 150㎡의 2층짜리 건물이 서있다면 용적률은 100%가 된다. 용적률을 규제하는 이유는 미관, 조망, 일조, 개방감 등을 좋게 해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용적률이 높을 수록 건축물을 높게 지을 수 있는데 아파트 경우 용적률이 크다면 그만큼 빽빽하게 들어서 있다는 것을 뜻한다. 한편으로는 재개발이나 재건축 사업의 경우 용적률이 클수록 분양물량이 증가해 투자수익이 높아진다.

관련어

  • 윤활기유[lube base oil]

    원유 정제 후 수첨 반응 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으로 윤활유 완제품의 80% 이상을 차지하...

  • 열거주의·포괄주의[positive system & negative system]

    규제와 제한을 둘 때 원칙을 지칭하는 말이다. 포괄주의(negative system)는 제...

  • 이익잉여금[earned surplus]

    회사 이익의 누적액을 말한다. 이익잉여금은 배당 등의 재원이 되는데, 배당이 없다고 가정하...

  • 양방향충전기[bi-directional on board charger]

    전기차 충전은 물론 전기차의 에너지를 다양한 곳에서 쓸 수 있는 기술. 친환경차가 생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