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수재죄
[Acceptance of a Bribe in Breach of Trust]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자신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재물이나 재산상 이익을 수수·요구·약속하는 행위.
대한민국 형법 제357조(배임수증죄)에 규정되어 있으며, 제1항은 일반 배임수재, 제2항은 업무상 배임수재를 다룬다.
배임수재죄는 부정한 청탁 + 금품수수라는 두 요소가 결합된 범죄로, 직무 과정에서 부정한 이익을 취하는 행위를 처벌한다. 반면 배임죄(제355조)는 임무위배를 통해 재산상 손해를 발생시키는 행위에 초점을 맞춘다.
관련어
- 참조어배임죄
-
보건의료분야 표준화 협력센터[WHO-FIC-]
질병분류(ICD), 국제의료행위분류(ICHI) 국제기능ㆍ장애ㆍ건강분류(ICF) 등 보건의료...
-
방송4법
방송법, 방송문화진흥회법, 한국교육방송공사법 등 방송3법에 방송통신위원회법 개정안을 묶어 ...
-
반감기[half-life]
반감기(half-life)는 어떤 물질의 양이 초기 값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
-
부채비율[debt ratio, ratio of total lia-bilities to net worth]
기업이 갖고 있는 자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 차지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