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수재죄
[Acceptance of a Bribe in Breach of Trust]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자신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재물이나 재산상 이익을 수수·요구·약속하는 행위.
대한민국 형법 제357조(배임수증죄)에 규정되어 있으며, 제1항은 일반 배임수재, 제2항은 업무상 배임수재를 다룬다.
배임수재죄는 부정한 청탁 + 금품수수라는 두 요소가 결합된 범죄로, 직무 과정에서 부정한 이익을 취하는 행위를 처벌한다. 반면 배임죄(제355조)는 임무위배를 통해 재산상 손해를 발생시키는 행위에 초점을 맞춘다.
관련어
- 참조어배임죄
-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어떤 재화를 소비함에 있어서 다른 사람을 배제할 수 없는 특성.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
블루오션전략[Blue Ocean Strategy]
한국이 낳은 세계적 경영학자인 김위찬 교수(프랑스 인시아드 경영대학원)가 같은 학교 동료인...
-
브렉시트[Brexit]
영국을 뜻하는 Britain과 탈퇴를 뜻하는 exit의 합성어로 영국의 EU 탈퇴를 의미한...
-
불가침협약[standstill agreement]
대상 기업의 경영진이 인수공격을 가할 수 있는 일단의주주들과 회사 운영상태에 대한 사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