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배임수재죄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자신 또는 제3자의 이익을 위하여 위탁자 등으로부터 금품이나 이익을 수수하거나 요구하는 행위.

대한민국 형법 제356조(배임수증죄) 및 제357조(수뢰후부정행위 등)에 규정되어 있다.

즉, 배임수재죄는 직무 수행 과정에서 부정한 이익을 수수하거나 요구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배임죄는 직무상의 권한을 남용하여 재산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관련어

  • 변동성[volatility]

    움직이는(변동하는) 성질을 뜻하는 용어로, 주식시장 등 자산시장에서는 상품의 가격이 변동하...

  • 분업화

    단독으로 행하는 일을 여러 부분으로 분할하여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한 가지 물건을 만들 ...

  • 비교물가수준[Comparative Price Levels, CPL]

    OECD가 회원국 등을 대상으로 3년마다 GDP와 그 구성요소들의 가격과 물량 자료(3,0...

  • 불건전 매매주문

    불공정한 거래를 통해 차익을 얻기 위한 주식 거래 주문. 1)허수성 매매주문, 2)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