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러시아산 원유 가격 상한제

[G7 price cap on Russian oil]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도록 2022년 12월 2일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선을 배럴당 60달러로 정하기로 합의한 것을 말한다.

2022년 12월 5일 부터 시행된 이 조치에 따르면 서방 국가들은 상한액인 배럴당 60달러를 초과하는 가격으로 수출되는 러시아 원유에 대해선 보험, 운송 등의 서비스를 금지한다. 이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러시아 우랄산 원유가격인 배럴당 70달러보다 10달러 낮은 수준이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과 호주 한국 등도 EU가 결정한 러시아산 가격 상한제에 동참하기로 했다.

러시아는 서방의 자국산 원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를“받아들이지 않겠다”며 상한제 도입 국가에 석유 공급을 중단할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그림자선단’을 통해 러시아산 원유가 계속 거래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림자 선단은 글로벌 정유사·보험업계와 전혀 거래하지 않는 유조선이다. 이들은 국제 제재 대상국인 러시아 이란 베네수엘라 등과 거래한다. 이들은 일반 해상 보험을 이용하지 않는 대신 가격이 낮은 중고 유조선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위험 부담을 줄인다.

러시아는 그림자 선단의 이런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유조선 100척 규모의 그림자 선단을 꾸린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그림자 선단 규모가 증가해 국제 해운업계가 주류와 그림자 선단으로 양분됐을 정도라고 전했다.

관련어

  • 래핑[lapping]

    현금의 회수기록을 늦게 하여 현금부족을 감추는 것. 예를 들어 고객 A로부터 받은 현금은 ...

  • 로컬가격제도

    수출용으로 쓰이는 원자재의 판매가격을 내수가격과 구별해 결정해온 제도. 수출을 장려하기 위...

  • 루이스 전환점[Lewisian turning point]

    개발도상국이 산업화 초기에 농촌의 값싼 인력이 도시의 산업 분야로 유입되면서 급속한 경제 ...

  • 리포커싱[refocusing]

    기업들이 사업을 다각화상태에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주력사업을 재구축하려는 현상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