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성장성 특례상장

 

실적이 좋지 않더라도 성장 잠재력이 큰 기업을 위해 상장 문턱을 낮춰 주는 제도다. 후보기업이 자기자본 10억원 이상, 자본잠식률 10% 미만 조건을 충족한 기업으로서 증권사가 상장 주선인으로서 후보 기업의 성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할 경우 상잠심사 청구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후보물질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한 바이오 회사가 주로 이용했다.

한편 이와 비슷한 기술특례상장은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두 곳에서 기술성 평가를 받아야 하지만 성장성 특례 방식에서는 의무 사항이 아니다.

다만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상장 후 6개월간 환매청구권(풋백옵션)이 부여된다. 풋백옵션은 상장 이후 기업 주가가 공모가의 90%를 밑돌 때 이를 주관사가 되사주는 제도다.

"성장성 특례상장"은 테슬라 요건 상장(이익미실현 특례상장)과 함께 2017년에 도입됐다. 기테슬라 요건 상장 기준은 거래소가 정한 일정 수준 이상의 시장 평가나 매출, 외형 요건을 갖춰야 한다.

  • 새 우편번호

    도로명주소 체계에 맞춰 도로, 하천, 철도 등 잘 변하지 않는 지형물을 기준으로 전국 3만...

  • 시초가주문[opening order]

    전장 또는 후장의 동시호가 시세대로 매매해 달라는 주문을 말한다. 증권거래소의 업무규정에 ...

  • 사회보험

    사회적 위험에 대비해 국민의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는 사회보장제도의 일환으로 국가가 나서서 ...

  • 사차배당

    보험연도말 현재1년이상 유지된 유효한 보험계약에 대하여 당보험연도의 연간 위험보험료에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