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술특례 상장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에 대해 외부 검증기관을 통해 심사한 뒤 수익성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상장 기회를 주는 제도로 2005년 도입됐다.
현재 영업 실적이 미미하더라도 기술력과 성장성을 갖춘 기업일 경우 전문평가기관 기술평가나 상장주선인 추천으로 상장할 수 있는 제도이다.

기술특례로 상장하려면 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기술보증기금, 나이스평가정보, 한국기업데이터) 중 두 곳에 평가를 신청해 모두 BBB등급 이상을 받아야 하고, 이 중 적어도 한 곳에서는 A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이후 상장심의위원회를 통과하면 코스닥시장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관련어

  • 광의통화[M2]

    광의통화(M2)=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을 의미하는 협의통화(M1)에 만기 2...

  • 권원보험[title insurance]

    부동산 권리의 하자나 상실, 보험계약 체결당시 부동산에 존재하는 우선 특권으로 인하여 부동...

  • 그리드플레이션[Greedflation]

    '탐욕'을 뜻하는 'greed'와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대기업들이 고물가 분위기를 틈타 상...

  • 구조조정 함정[structure trap]

    부실기업,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처리 등 경제구조를 개혁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