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후대응기금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정부가 조성하기로 한 기금.

2020년 12월 7일 정부가 발표한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에서 발표됐다.

기후대응기금은 탄소 배출을 줄임에 따라 피해를 볼 수밖에 없는 석탄발전 석유화학 자동차 등의 기업과 근로자를 지원하고 저탄소사업을 확대하는 데 주로 쓰일 예정이다. 정부는 휘발유세 경유세 등의 수송용 에너지세와 유연탄 LNG 등 발전용 에너지세의 체계를 바꿀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탄소와 관련된 각종 에너지 세금과 부담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가격 체계를 다시 정하기로 했다. 기업들은 경유세가 오르고 탄소세가 신설되는 형태로 에너지 세제가 개편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요금이 오를 공산도 크다고 예상한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지금 단계에서 탄소세 도입과 경유세 인상 여부를 말씀드리는 건 적절하지 않다”며 가능성을 열어놨다.

관련어

  • 거친 연착륙[hard ''soft landing'']

    연착륙은 하되 하강속도가 좀 빨라 예상보다 충격이 클 것이란 의미에서 만들어진 신조어. ...

  • 광고[advertising]

    산업·기업·비영리 조직 또는 개인에 의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통신되는 유료의 불특정 다수를...

  • 가중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

    기업의 자본조달 원천별(부채, 우선주, 보통주, 유보이익 등) 자본비용이 총자본에서 차지하...

  • 국가하천

    하천은 국가하천과 지방하천으로 구분하는데, 이 중 국가하천은 국토보전상 또는 국민경제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