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버스
'곱하기+인버스'를 줄인말.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주는 상품인 '인버스'의 가격변동폭의 2배로 움직이는 상품. 수익도 2배, 손실도 2배인 셈이다.
인버스의 2배인 만큼 많은 돈을 벌 수 있지만 큰 손해를 볼수도 있다.
코스피지수가 2300을 넘어선 2020년 8월 이후 개미들은 하락장에 본격적으로 베팅을 시작했다. 6개월도 채 되지 않아 1조2194억원을 쏟아부었다. 하지만 돈을 번 이들은 많지 않다. 그사이 코스피지수는 900포인트 넘게 뛰었다. 곳곳에서 곱버스로 손실을 본 개미들이 속출했다. 곱버스의 2020년 한 해 평균 수익률은 -60%가 넘는다.
코스피가 급등하지 않고 박스권에 갇혀 있어도 곱버스 투자자들은 손실을 보게 된다. 곱버스가 가진 마이너스 복리효과 때문이다. 레버리지 상품은 투자기간의 누적 수익률이 아니라 일간 수익률의 두 배를 따라간다. 가령 기초지수가 100-110-100-110-100 구간을 끊임없이 반복한다고 가정해보자. 둘째 날 지수가 10% 올랐으니 레버리지 상품 수익률은 20%다. 100원이었던 레버리지 상품 가격은 120원이 된다. 셋째 날 지수가 9.09% 하락해 다시 100원이 됐다. 상품 가격은 지수 하락폭의 두 배만큼(18.18%) 떨어지는데, 기존 가격보다 낮은 98원이 된다. 상품 가격이 120원으로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오른 것에 비해 더 많이 하락하는 것이다. 이를 끊임없이 반복할 경우 상품 가격은 0에 수렴한다.
마이너스 복리효과 때문에 곱버스는 지수가 한 방향으로 하락할 때가 가장 유리하다. 1만원을 투자한 뒤 매일 2%씩 주가가 하락할 경우 지수 하락률은 14.9%, 곱버스 수익률은 36.9%가 된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연출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1주일간 지수가 2%씩 등락을 번갈아 반복했을 경우 1주일 뒤 수익률은 -0.6%로 떨어진다. 똑같이 두 배의 수익을 내는 레버리지 상품이라도 곱버스 손실률이 일반 레버리지 펀드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전문가들은 주가의 방향과 변동성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관련어
- 참조어인버스 상품
-
국제부흥개발은행[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IBRD]
개발도상국의 투자자금조달을 목적으로 하는 국제은행이며 세계의 은행이다. 1944년 브레턴우...
-
기준환율[basic exchange rate]
외국환은행이 고객과 원화를 대가로 미달러화를 매매할 때 기준이 되는 환율을 말하며 시장평균...
-
고아계약[orphan policy]
보험계약을 모집한 설계사의 이직이나 퇴직등으로 계약자 관리가 되지않는 계약을 말하고 해당 ...
-
국제경영개발연구원[International Institute for Management Development, IMD]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경영대학원으로 1989년부터 해마다 세계 60여개국의 국가경쟁력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