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관세

[customs duties]

관세란 관세선(customers frontier)을 통과하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즉 외국에서 수입되거나 외국으로 수출하는 물품에 대해 그 물품이 관세선을 통과하는 조건으로 법률에 의해 국가가 부과하는 조세다.

여기서 관세선이란 통관이 이루어지는 지점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 지점을 통과함으로써 법률적으로 내국물품은 외국물품이 되고 외국물품은 내국물품으로 바뀌게 된다.

관세는 국경을 출입하거나 제3국으로 통과하는 상품에 대해 부과하는 간접세로 수입관세·수출관세·통과관세의 세 종류가 있다. 관세부과의 목적이 전적으로 세수의 확보에 있었던 중세나 그 이전에는 수입품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수출품이나 국내를 통과하여 제3국으로 향하는 외국상품에 대해서도 무차별적으로 관세가 부과되었다.

그러나 자국산업의 육성이나 무역수지 흑자에 힘을 기울이게 된 중상주의 시대 이후로 세제가 정비되고 세수원이 다양화됨에 따라 관세는 압도적으로 수입관세에 대해 부과되게 된다.

  • 고용보험제도[employment insurance]

    근로자가 실직할 경우 일정기간 동안 실업수당을 지급하고 원하면 전직훈련은 물론 취업도 알선...

  • 공유재산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재산.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 따르면 부동산, 선박, 항공기뿐 아...

  • 관봉권[官封券]

    관봉권(官封券)은 화폐의 액수와 상태에 이상이 없음을 보증하기 위해 지폐 뭉치를 띠지로 묶...

  • 개호변액

    계약자가 맡긴 자금을 보험사가 운용해 거기서 얻은 수익만큼 계약자들에게 되돌려주는 보험상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