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의계속가입

 

국민연금 의무가입 상한 연령(60세)이 지났지만 자발적으로 계속 보험료를 내며 65세까지 가입하는 것을 말한다.

국민연금법 제13조(임의계속가입자)는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 60세가 돼도 임의계속가입자로 가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임의계속가입제도를 활용하면 노령연금을 탈 수 있는 자격을 확보하거나 연금 액수를 늘리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제도는 국민연금 가입자나 가입자였던 사람이 국민연금 의무가입 연령인 60세에 도달했지만, 노령연금 수급 조건인 최소 가입 기간 10년(120개월)을 채우지 못해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가입 기간을 연장해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할 때 65세 이전까지 보험료를 계속 낼 수 있게 하려는 취지로 도입됐다.

한편, 이와 비슷한 용어인 임의가입은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을 대상으로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사람들에게 국민연금 가입 기회를 주는 제도이다.

  • 이머징7[E7]

    브릭스 4개국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에 인도네시아, 멕시코, 터키를 더한 7개 ...

  • 우대형 주택연금

    저가 주택 소유자를 위한 연금상품으로 2016년 4월25일 도입됐다. 집값이 1억5000만...

  • 외부감사[external audit]

    기업과 이해관계가 없는 외부의 회계사가 행하는 감사제도. 회사 내부의 감사인과는 별도로 외...

  • 외환보유고[foreign exchange holding]

    한 나라의 통화당국, 즉 정부와 중앙은행이 보유한 대외지급준비 외화자산을 말한다. 여기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