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임의계속가입

 

국민연금 의무가입 상한 연령(60세)이 지났지만 자발적으로 계속 보험료를 내며 65세까지 가입하는 것을 말한다.

국민연금법 제13조(임의계속가입자)는 국민연금 가입자 또는 가입자였던 사람이 60세가 돼도 임의계속가입자로 가입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임의계속가입제도를 활용하면 노령연금을 탈 수 있는 자격을 확보하거나 연금 액수를 늘리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 제도는 국민연금 가입자나 가입자였던 사람이 국민연금 의무가입 연령인 60세에 도달했지만, 노령연금 수급 조건인 최소 가입 기간 10년(120개월)을 채우지 못해 연금을 받지 못하거나 가입 기간을 연장해 더 많은 연금을 받고자 할 때 65세 이전까지 보험료를 계속 낼 수 있게 하려는 취지로 도입됐다.

한편, 이와 비슷한 용어인 임의가입은18세 이상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을 대상으로 의무가입 대상이 아닌 사람들에게 국민연금 가입 기회를 주는 제도이다.

  • 일반 품목군[normal track]

    관세 즉시 철폐~10년 내 철폐할 품목. 한중FTA에서 품목 수 기준 90%(수입액 기준 ...

  • 의무전환사채[mandatory CB]

    전환사채(CB)는 투자자가 주식전환 혹은 원리금의 현금상환을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다. 의...

  • 유효기어링[effective gearing]

    기초자산 가격이 1% 변할 때 워런트 가격의 변화정도를 말하며 단위는 %다. 기초자산 가격...

  • 완전고용[full employment]

    일을 할 의사와 능력을 갖고 취직을 희망하는 자가 원칙적으로 전부 고용되는 상황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