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보건 의료대학
의료 취약지에서 10년 이상 근무하는 조건으로 입학을 허용해 공공의료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게 골자다. 입학금과 수업료, 기숙사비 등은 정부가 전액 지원한다.
의무 복무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의사면허 박탈 등 벌칙도 받는다.
일본에도 비슷한 제도가 있다. 1972년 낮후지역의 의료 인력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의대를 설립했다. 공공의대에서는 매년 120명을 선발해 무료로 교육을 제공하는 대신 졸업 후 9년간 지방의 지정공립병원등에서 의무 복무하도록 하고 있다.이행하지 않으면 2300만엔 상당의 금액이 청구된다.
보건복지부가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겠다며 2018년4월 전북 남원에 공공의대(정원 49명)를 세우겠다고 밝힌 뒤 국회는 1년 넘게 공공의대법을 논의해왔지만 2019년 12월 25일 현재까지 결론을 내지 못했다.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Korea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T]
과학기술 분야 고급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03년 22개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참여해...
-
기초자산[underlying assets]
파생상품의 기초(근거)가 되는 자산을 말한다. 기초자산은 크게 △통화(FX), 금리, 주식...
-
개인연금[personal pension]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노령인구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
-
공무원연금
공무원 및 그 유족을 위한 종합사회보장 제도로 1960년 시행에 들어갔다. 현행법상 퇴직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