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보건 의료대학
의료 취약지에서 10년 이상 근무하는 조건으로 입학을 허용해 공공의료 전문인력으로 양성하는 게 골자다. 입학금과 수업료, 기숙사비 등은 정부가 전액 지원한다.
의무 복무 규정을 지키지 않으면 의사면허 박탈 등 벌칙도 받는다.
일본에도 비슷한 제도가 있다. 1972년 낮후지역의 의료 인력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가 공공의대를 설립했다. 공공의대에서는 매년 120명을 선발해 무료로 교육을 제공하는 대신 졸업 후 9년간 지방의 지정공립병원등에서 의무 복무하도록 하고 있다.이행하지 않으면 2300만엔 상당의 금액이 청구된다.
보건복지부가 지역 간 의료 격차를 줄이겠다며 2018년4월 전북 남원에 공공의대(정원 49명)를 세우겠다고 밝힌 뒤 국회는 1년 넘게 공공의대법을 논의해왔지만 2019년 12월 25일 현재까지 결론을 내지 못했다.
-
공모[public offering]
회사를 설립하거나 증자를 할 경우 일반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
광고기획자
광고기획자는 광고주의 의견과 요구사항을 바탕으로광고의 방향을 설정하고 광고 제작의 전반적인...
-
국제정보디스플레이 학술대회 및 전시회[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IMID]
우리나라에서 개최하는 디스플레이 학술 및 전시회. 일본 FPD(Flat Panel Disp...
-
골판지[Corrugated fiberboard]
원판지에 물결 모양의 골심지을 접착제로 붙여서 만든 판지. 비교적 가벼운 무게의 재료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