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차이사회제도

[staggered board]

이사회 교체시 개편대상 인원이 3분의 1을 넘지 못하도록 하거나 매년 일정 비율(25∼50%)로 이사진이 순차적으로 바뀌도록 정관에 명시함으로써, 기업의 소유권이 넘어가더라도 이사진을 장악하는 데 장기간이 소요되도록 하여 기업의 인수 매력을 떨어뜨리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매수 기업이 이사들에게 특별공로금 등을 지급하여 사임시키거나 이사회 임원의 수를 늘려 기존 이사들을 자진 사퇴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대적 M&A의 방어수단으로서는 비교적 효과가 약하다.

  • 스윙 보터[swing voter]

    특별히 지지하는 후보나 정당이 정해지지 않았거나 바뀌는 유권자를 뜻한다. 이들은 정치...

  • 산업기술분쟁조정[industrial technology dispute resolution]

    기술유출 관련 분쟁을 소송이나 형사고소가 아닌, 각 분야 전문가들의 조정을 통해 당사자들이...

  • 소기업 범위

    소기업은 상시 근로자 50인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하지만 2015년 말 정부는 중소기업 ...

  • 시카고상업거래소[Chicago Mercantile Exchange, CME]

    세계 최대의 농산물과 금융상품 선물거래소이다. 1898년 버터와 계란을 거래하던 상인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