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와프 거래

[swap transaction]

서로 다른 통화 또는 금리 표시의 채권, 채무를 일정 조건하에 교환하는 거래를 말한다. 외환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환매매의 당사자가 현물환의 매매와 동시에 이를 대응하는 동액의 선물환의 매매를 실시하는 경우를 말한다. 스와프 거래는 자금조정의 필요성과 환포지션 조정의 필요성 때문에 이루어진다. 자금조정의 경우는 외국환은행이 일시적인 자금부족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기간에 엔화 자금이 필요하고 달러 자금에 여유가 있다면, 달러를 팔고 엔을 매입함과 동시에 같은 금액의 엔선물환을 매도하고 그 기일에 이르러 새당 엔선물환의 매도계약을 실행한다. 이런 일련의조치로 현물의 매입(또는 매도)이 상계되어 환포지션은 균형상태가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부담을 최소화하며 엔화 자금의 일시적 부족을 충당하게 된다.

환포지션 조작은 외국환은행의 환포지션을 조정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면, 외환은행이 환포지션 조정을 위해서 선물환매입을 원해도 팔려는 물건이 없을 경우 우선 현물을 매입함과 동시에 동액의 현물매도와 선물매입을 조건으로 하는 스왑 거래를 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선물로써 조정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스와프 거래는 목적에 따라 동종 채권과의 교체, 이종 채권과의 교체, 금리 예상에 의한 교체로 그 유형을 나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이 외국은행 국내지점에서 달러를 받고 원화를 공급하는 형식의 스와프 거래가 이루어지고있다.

  • 스마트팜[Smart Farm]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어...

  • 스마드족[SMAD]

    각종 정보를 입수해 똑똑하게 물건을 구입하는 ''스마트(smart)족''과 시간이나 장소에...

  • 세대생략증여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고, 세대를 건너뛰어 손자에게 재산을 이전하는 것이다. ...

  • 시장성유가증권[marketable securities]

    매매 가능한 증권. 한 투자자로부터 다른 투자자에게 유통될 수 있는 증권으로 은행 인수어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