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한국형 실업부조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생계 보장과 취업 지원을 위한 급여를 주는 제도로 2020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근로 빈곤층과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폐업 위기에 놓인 자영업자 등에게 일정기간 지원금을 준다.

구체적으로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하며 지원금액은 최저 생계를 보장하는 수준의 정액 급여로, 수급 기간은 6개월을 원칙으로 하되 타 지원 제도와의 정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체화하기로 했다.

또 실업부조 수급자에게는 구직 기간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실질적인 직업훈련 기회를 제공키로 했다.

관련어

  • 화물연대

    개인 화물차 운전 기사들의 노동조합으로 2002년 10월 출범했다. 구성원 대부분이...

  • 핵티비스트[hacktivist]

    `해커’와 ‘액티비스트’를 묶은 합성어로 인터넷을 통한 컴퓨터 해킹을 투쟁 수단으로 사용하...

  • 해양생물다양성[Marine Biological Diversity]

    해양환경에 서식하는 살아있는 유기체 사이에 존재하는 변이성을 말한다. 종내유전적 다양성, ...

  • 혼합스와프[cocktail swap]

    국내은행들이 홍콩에서 자금을 조달할 때 "혼합스왑(cocktail swap)"을 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