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
전체인구에서 고령인구(만 65세 이상)의 비율이 14%를 넘긴 사회.
유엔은 고령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 17년 만인 2017년에 고령사회로 들어섰다.
2017년 한국의 고령인구는 711만5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4.2%를 차지했다. 전년(13.6%) 대비 0.6%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전체 인구가 5127만 명에서 5142만 명으로 0.3% 증가하는 사이 고령인구는 678만 명에서 712만 명으로 5.0% 증가했다.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알려진 일본도 1970년 고령화사회에서 1994년 고령사회로 들어서는 데 24년이 걸렸다. 한국의 고령사회 진입 속도는 프랑스(115년) 미국(73년) 독일(40년) 등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더욱 확연히 앞선다.
통계청은 2019년 장래인구추계에서 2025년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
개인항공기[personal air vehicle, PAV]
무인기 기술을 발전시켜 비행기를 개인의 교통 수단으로 발전시킨 개인용 비행체. 말 그대로 ...
-
근저당권설정비율
금융회사가 대출해주고 담보로 잡은 물건에 대해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비율. 보통 대출 원금의...
-
그린 슈트[Green shoots]
겨울에 얼어붙었던 땅을 뚫고 봄에 새싹(green shoots)이 돋아나듯 경기가 침체에서...
-
기후에너지환경부[Ministry of Climate, Energy and Environment]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 변화 대응과 에너지 정책을 한데 묶어 추진하기 위해 신설된 중앙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