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개키 암호화

[Public-key cryptography]

공개키 암호화는 서로 다른 두 개의 키(공개키와 개인키)를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비대칭 암호 방식이다. 공개키는 누구나 접근 가능하지만,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개인키는 오직 수신자만이 보유한다.

공개키 암호화는 디지털 보안의 뼈대다. 발신자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정보를 암호화하고, 수신자는 자신만 알고 있는 개인키로 이를 해독한다. 이로써 중간에서 데이터를 가로채더라도 해독은 불가능해진다.

암호는 열려 있지만, 해독은 오직 한 사람만이 가능한 구조다.

특히 전자서명, 온라인 금융, 인증 시스템 등에서 핵심 구조로 쓰이며, FIDO, 패스키, 블록체인 지갑, VPN 보안까지 다양한 기술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메일을 암호화할 때는 수신자의 공개키로 내용을 잠그고, 수신자는 자신의 개인키로 이를 해독한다.
온라인 쇼핑몰에서 사용자가 결제를 시도하면, 브라우저는 서버의 공개키로 결제 정보를 암호화하고, 서버는 자신만의 개인키로 이를 풀어낸다.
또한, 블록체인 지갑은 사용자의 공개키를 통해 주소를 생성하고, 오직 개인키를 가진 사용자만이 해당 자산을 이동시킬 수 있다.

  • 구조조정 3트랙

    2016년 4월 26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밝힌 부실기업 구조조정안. 기업구조조정을 경기민...

  • 구독플레이션

    구독경제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의미하며, 이는 기업이 구독료를 인상함으로써 소비자의 부...

  • 공인회계사[certified public accountant, CPA]

    공인회계사법에 의하여 공인된 국가시험에 합격하고 타인의 위탁에 의하여 회계에 관한 감사·감...

  • 공존지수[network quotient, NQ]

    함께 사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얼마나 잘 운영할 수 있는가 하는 능력을 재는 지수다. 인터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