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청색 기술

[blue technology]

온실가스 등 환경 오염 물질 발생을 사전에 막는 기술. 생물체에서 영감을 얻어 문제를 해결하려는 ‘생물 영감’과 생물을 본뜨는 ‘생물 모방’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사후 대책의 성격이 강한 ‘녹색 기술’과 차별화되는 ‘청색 기술’의 목표는 생물의 구조와 기능을 연구해 경제적 효율성이 뛰어나면서도 자연 친화적인 물질을 창조하는 데 있다. 청색 기술 전문가들은 식물의 잎처럼 광합성 능력이 있는 인공 나뭇잎을 만들 궁리를 하고 있다.

  • 총허용어획량제도[total allowable catch, TAC]

    하나의 단위자원(종)에 대한 어획량 허용치를 설정하여 생산자에게 배분하고, 어획량이 목표치...

  • 취학, 질병요양(양도세)

    실수요 요건 중 ''취학''은 자녀가 가족과 떨어져 고등학교나 대학교 취학을 위해 집 한 ...

  • 초음파 진단기

    주파수가 큰 음파를 몸속으로 보낸 뒤 반사된 음파로 얻어진 영상을 보여주는 기기다. 초음파...

  •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핵폐기[final, fully verified denuclearization, FFVD]

    2018년 7월 5∼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평양 방문때 제시한 핵폐기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