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채권면역

 

채권면역이란 앞으로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화하더라도 채권매입 당시의 수익률을 실현시키고자 하는 기법이다. 즉 이자율의 변화에 따른 채권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한 채 투자자가 채권투자 당시 목표로 했던 수익률을 안전하게 확보하는 방법이다. 이런 의미에서 채권면역을 수동적·보수적 채권투자전략으로 볼 수 있다. 채권면역은 크게 자산으로서의 채권가치를 보호하는 자산면역과 자산과 부채를 연계하여 이자율이 어떻게 움직이든지 간에 자산의 가치가 부채의 가치 이상이 되도록 면역을 취하는 자산·부채 연계면역이 있다. 이자율 변동, 채무자의 파산 등 위험을 회피한다는 점에서 헤지거래와 유사하다.

  • 채권단 자율협약

    주로 금융권 여신이 500억원 미만인 중소기업을 구조조정할 때 쓰는 방식이다. 기업 규모로...

  • 차이니스 월[Chinese Wall]

    금융회사의 부서 간 또는 계열사간 정보 교류를 차단하는 장치나 제도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 축농증[Sinusitis]

    사람의 얼굴에는 공기가 가득 차 있는 ‘동굴’과 같은 빈 공간이 있다. 코 주위의 ‘부비동...

  • 차액관세

    차액관세는 특정 물품의 수급 불안정으로 야기되는 가격의 급격한 변동을 막고 국내가격을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