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우리사주제도

 

근로자들이 우리사주조합을 결성, 자기 회사 주식을 매입해 보유하도록 하는 제도로 임직원이 주주로서 배당금 등 회사의 성과를 공유할 수 있다.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여 기업 성장을 유도하고, 그 과실로 근로자의 재산 형성을 돕는다는 취지에서 1968년 도입됐지만 활용도가 낮았다. 2014년 말 현재 우리사주제도 대상 법인 45만7665개(비상장 법인 45만5919개 포함) 중 이를 도입한 기업은 2706개(0.6%)에 불과하다. 비상장 법인은 1274개(0.3%)에 그쳤다.
한편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2015년 2월 2일 우리사주제도를 활성화하기위해 연간 400만원의 소득공제 혜택을 주는 우리사주 저축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관련어

  • 유병자보험

    질병을 앓고 있거나 병력이 있는 소비자도 간소화된 심사 절차를 통해 가입할 수 있는 보험상...

  • 인공강우

    구름 입자를 자극해 비를 내리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빈센트 셰퍼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

  • 인프라[infrastructure]

    사회적 생산기반을 뜻하는 말로 인프라스트럭처를 줄여 간단히 ‘인프라’라고 부른다. 인프라는...

  • 위성간 통신 기술[inter satellite links, ISL]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통신 서비스를 구현하는 필수 기술. 위성 간 데이터를 ‘레이저’로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