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을 채권단 주도로 채무상환 유예, 신규자금 지원 등 통해 회생을 지원하는 제도. 줄여서 '기촉법'이라고도 한다.

기촉법은 부실기업을 신속하게 회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채권단 100%가 찬성해야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자율협약과 달리 75%만 찬성해도 구조조정을 시작할 수 있으며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비해 기업 회생시간이 짧은 편이다.

2001년 일몰 시한이 있는 한시법으로 도입된 뒤 네 차례 실효와 재도입을 반복했다. 2018년 6월 말 네 번째로 일몰 폐지됐다가 10월 1일부터 부활했다.

  • 그라핀[graphen]

    2004년 영국 맨체스터 대학교 연구팀(앙드레 게일)과 러시아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연구소의...

  • 공정가열로[fired process heater]

    내화물로 둘러싼 연소실 또는 가열로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킬때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

  • 김치 코인

    한국에서 발행된 가상화폐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버거코인과 구분하여 사용된다. 김치코인...

  • 기저부하[base load]

    발전할 때 시간적 또는 계절적으로 변동하는 전 발전부하중 가장 낮은 경우의 연속적인 수요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