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구조조정촉진법

 

부실 징후가 있는 기업을 채권단 주도로 채무상환 유예, 신규자금 지원 등 통해 회생을 지원하는 제도. 줄여서 '기촉법'이라고도 한다.

기촉법은 부실기업을 신속하게 회생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채권단 100%가 찬성해야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자율협약과 달리 75%만 찬성해도 구조조정을 시작할 수 있으며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에 비해 기업 회생시간이 짧은 편이다.

2001년 일몰 시한이 있는 한시법으로 도입된 뒤 네 차례 실효와 재도입을 반복했다. 2018년 6월 말 네 번째로 일몰 폐지됐다가 10월 1일부터 부활했다.

  • 구상무역

    돈의 사용없이 상품이나 재화를 교역하는 물물교환을 말한다. 구상무역이라고도 불리는 바터무역...

  • 긴급재정관리제도

    유동성 위기에 빠진 지방자치체에 정부와 상급 지자체가 직접 개입, 구조조정을 진행하는 제도...

  •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공간정보산업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해 민간업계 등 관련 산업이 체계적으로 발전할 수 있...

  • 가중평균자본비용[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ACC]

    기업의 자본조달 원천별(부채, 우선주, 보통주, 유보이익 등) 자본비용이 총자본에서 차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