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용적률인센티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용적률을 추가로 높여주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사업용지가 지구단위계획구역에 속해 있을 때 사업시행자가 사업용지의 일부를 공원·녹지·도로와 같은 공공용지로 제공할 경우 용적률을 허가기준 보다 높여주는 것이 이에 속한다. 또한 신축의 경우 에너지 효율 1등급 또는 녹색건축인증 최우수 등급을 받으면 최대 15%의 용적률을 더 받는다.

기존 건축물은 그린리모델링 등을 통해 냉난방 에너지를 종전 대비 50% 이상 절감할 때도 용적률을 최대 15%까지 추가로 받게 된다.

  • 일반회생

    서민이 주로 이용하는 ‘개인회생’과 달리 15억원 이상(무담보는 10억원 이상)의 빚을 진...

  • 열거주의·포괄주의[positive system & negative system]

    규제와 제한을 둘 때 원칙을 지칭하는 말이다. 포괄주의(negative system)는 제...

  • 에어태그[Airtag]

    애플이 2021년 5월 내놓은 분실물 추적 장치. 에어태그는 500원 동전 모양의...

  • 유비페이[UbPay]

    카드를 발급받은 스마트폰으로 결제하고 통신기능을 이용해 직접 승인하는 서비스 구조다. 온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