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조적장기침체

[secular stagnation]

경기침체와 소득불평등 심화로 세계 경제가 만성적 수요부진에 빠진 상태.
앨빈 한센 하버드대 교수가 1938년 처음 사용한 용어로 2014년 11월 열린 국제통화기금(IMF) 콘퍼런스에서 미국 재무장관을 역임한 로렌스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가 다시 들고나왔다. 이들은 경제가 성숙단계에 달한 상황에서 만성적인 수요 부족, 특히 기업들의 투자회피에 따른 과잉저축이 세계경제 장기정체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서머스 교수는 그동안 빚을 지면서 소비를 늘려온 가계가 소비를 줄여 부채를 갚고 저축을 늘린 데다 주요 선진국들도 금융위기 후 긴축기조로 전환하면서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며 기업들은 투자에 관심이 적고, 은행들은 여신의 만기연장에만 관심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머스 교수는 대안으로 정책당국에 공항, 도로,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과감한 투자를 주문했다. 민간 부문이 만성적인 수요 부진에 빠져 있어 스스로 충분한 고용과 성장률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 인위적인 수요 창출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 그림자금융[shadow banking system]

    투자은행, 헤지펀드, 사모펀드, 구조화 투자회사(SIV) 등과 같이 은행과 비슷한 역할을 ...

  • 검색의 항변권

    채권자가 보증인에게 채무의 이행을 요구한 경우에 보증인은 주채무자에게 돈을 갚을 능력이 있...

  • 개방형 수익증권

    1주당 순자산가액을 기초로 투자자의 해약에 언제나 응할 수 있는 수익증권을 말한다. ...

  • 기업의 사회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뜻한다. 기업이 생산 및 영업을 통한 이윤 창출활동을 할 때 환경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