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합리적 무시

[rational ignorance]

비판을 했을 때 얻는 소득이 비판을 하지 않았을 때 주어지는 소득보다 적은 경우 무시를 택하는 것을 말한다. 한 국가에 특수이익집단이 존재한다고 치자. 또 이익집단이 정부에 10억원가량의 로비를 해 사업 독점권을 따낸다면 100억원의 이익을 보게 된다고 가정하자. 또 소비자 개개인은 500원의 손해를 보고, 소비자들이 이에 항의해 이익집단의 행동을 무산시키는 데 드는 비용은 5억원이라고 생각해보자. 이 경우 소비자 1명은 도저히 막대한 소송비용을 감당할 수가 없다. 소비자 10만명이 모여 각각 5000원의 소송비용을 감당한다 해도 손해금액 500원보다 소송비용이 더 크다. 그렇다고 수백만명이 단체소송을 거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다.

여기에 이익단체에 항의할 사람들을 조직하는 데도 추가 비용이 든다. 소비자단체 같은 거대 그룹은 집단행동을 하기가 이익단체보다 훨씬 어렵기 때문이다. 이익단체 같은 작은 그룹은 원래 뭉치기가 쉽다. 이해관계가 같기 때문에 의견을 하나로 묶고 밀어붙이기도 용이하다. 그러나 소비자, 납세자, 노인 등의 그룹은 규모가 너무 커 뭉치기가 어렵다. 의견도 엇갈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런 불공정함에도 이익단체의 행동을 무시하게 되는데, 이를 합리적 무시라고 한다.

  • 해외 뮤추얼펀드

    1. 외국 투신사(자산운용회사)가 운용하는 투자신탁 상품이다. 투자대상은 미국·영국·동남아...

  • 환경계정

    경제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오염과 자연자원의 감모 등 환경손실을 화폐가액으로 평가, 이를...

  • 히포[highest paid person's opinion, highest paid person in the office, HiPPO]

    보수를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의 의견(highest paid person's opinion)...

  • 한국서비스품질지수[Korean Standard-Service Quality Index, KS-SQI]

    2000년 한국표준협회와 서울대 경영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서비스품질평가 모델. 국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