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관리무역주의

[system of controlled trade]

관리무역주의란 국민 경제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국가가 일정한 계획에 의거하여 직접적으로 대외무역을 관리, 통제하는 제도이다. 단적으로 말해, 국가가 수출은 장려하고 수입은 통제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이는 1929년 세계 대공황 이후 등장하여 2차 대전 후에 일반화된 방식으로 우리나라도 이를 실시하고 있다.

오늘날 관리무역주의는 보호무역주의화하여 가능한 한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은 통제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리무역주의의 구체적인 목적은 국내산업을 보호·육성하고, 수출입의 균형을 도모하며, 국제수지 균형을 맞추고, 외환시세를 안정시키는 데 있다. 그 내용으로는 대개 수출입 기별공고, 수출입 허가승인, 수입통제 제한제도, 수출장려제도, 수입담보금제도 등을 들 수 있다.

  • 계획관리지역

    도시지역으로의 편입이 예상되는 지역 또는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제한적인 이용·개발을 하려는 ...

  • 국제협력요원제도[International Cooperation Person]

    병역법과 국제협력요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병역 의무자 중에서 일정한 자격 요건을 갖춘 지원...

  • 관리비[administrative expense]

    생산과 판매의 직접비용처럼 특정한 기능과 쉽게 연결되지 못하는 비용. 이것은 대체적으로 집...

  • 경영협력협약[business co-operation contract, BCC]

    복수의 회사가 협력을 통해 특정 기업을 경영하자는 협약. 2015년 9월 1일 성동조선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