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무역주의
[system of controlled trade]관리무역주의란 국민 경제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국가가 일정한 계획에 의거하여 직접적으로 대외무역을 관리, 통제하는 제도이다. 단적으로 말해, 국가가 수출은 장려하고 수입은 통제하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이는 1929년 세계 대공황 이후 등장하여 2차 대전 후에 일반화된 방식으로 우리나라도 이를 실시하고 있다.
오늘날 관리무역주의는 보호무역주의화하여 가능한 한 수출을 장려하고 수입은 통제하려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리무역주의의 구체적인 목적은 국내산업을 보호·육성하고, 수출입의 균형을 도모하며, 국제수지 균형을 맞추고, 외환시세를 안정시키는 데 있다. 그 내용으로는 대개 수출입 기별공고, 수출입 허가승인, 수입통제 제한제도, 수출장려제도, 수입담보금제도 등을 들 수 있다.
-
가젤기업[Gazelles Company]
매출액과 근로자 수가 과거 3년 연속 평균 20%이상 지속적으로 고성장한 중소 기업을 말한...
-
경기순환시계[景氣循環時計, Business Cycle Clock, BCC]
생산, 소비, 투자, 고용 등 주요 경제지표가 경기순환국면(상승, 둔화, 하강, 회복) 가...
-
개발수입[import for development]
개발수입은 원자재 주산국에 자금과 기술을 제공하고 원자재를 재배, 생산, 개발하여 원금 상...
-
글로벌 인프라와 투자 파트너십[Partnership for Global Infrastructure and Investment, PGII]
G7 정상들이 2022년 6월 26일 출범을 공식 선언한 글로벌 인프라·투자 파트너십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