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체휴일제

 

공휴일이 토요일이나 다른 공휴일과 겹치는 경우 그다음 평일을 휴일로 보장하는 제도. 대체공휴일은 1959년 처음 도입되었으나, 1960년 폐지된 이후 2013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의해 부활했다. 2021년 문재인 전 대통령에 의해 국경일인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에도 대체공휴일이 적용되기 시작했으며, 2023년에는 석가탄신일과 성탄절에도 대체공휴일이 적용된다.

대체공휴일의 의무 적용 대상은 관공서, 300인 이상 민간 기업, 30인 이상 기업, 5인 이상 30인 미만 사업장이다. 대체공휴일의 적용을 받는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는 공휴일에 일을 했다면 유급휴일 급여, 휴일근로 가산 수당 등 추가 급여를 받을 수 있다.

  • 디지털 중독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PC)가 없으면 불안을 느끼는 증상. 디지털 기기에 지나치게 의...

  • 대기오염총량제

    대규모 공장이나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제도. 공장이나 발...

  • 단기채[short-term bond]

    채권은 상환기간에 따라 장기, 중기, 단기채로 나눈다. 단기채로 구분하는 뚜렷한 기준은 없...

  • 듀프소비[Dupe Consumption]

    듀프소비는 ‘듀페(Dupe, Duplication의 줄임말)’와 ‘소비’의 합성어로, 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