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다자간 서비스협정

[Trade In Services Agreement, TISA]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23개국이 추진 중인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을 뜻한다. 건설, 문화, 유통 등 서비스시장 무역장벽을 없애는 것이 주 목적이다. 때문에 ‘서비스 분야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도 불린다. 2012년 초 부터 미국과 호주의 주도로 논의되고 있는 TISA 추진은 세계무역기구(WTO)의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이 지지부지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2017년 12월 초 1차 타결을 목표로 했던 TISA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정부의 갑작스러운 협의 보류 통보로 급제동이 걸렸다.

  • 대량화물유통기지[Central Terminal System, CTS]

    석탄, 철광석, 합금철 등의 화물을 가공해 국내외 수요업체에 공급하는 물류 체계를 말한다....

  • 동방경제포럼[Eastern Economic Forum, EEF]

    러시아 정부 주관으로 동러시아 지역 개발을 위한 투자 유치 및 주변국과의 경제 협력 활성화...

  •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공시

    전년도 매출액대비 계약금액에 따라 ‘의무공시’와 ‘자율공시’로 구분한다. 코스닥기업...

  • 딜레이드 코커[delayed coker]

    중질유를 분해해 LPG, 나프타 등 고부가가치 경질유를 생산하는 시설. 원유를 정제하고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