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다자간 서비스협정

[Trade In Services Agreement, TISA]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23개국이 추진 중인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을 뜻한다. 건설, 문화, 유통 등 서비스시장 무역장벽을 없애는 것이 주 목적이다. 때문에 ‘서비스 분야의 자유무역협정(FTA)’으로도 불린다. 2012년 초 부터 미국과 호주의 주도로 논의되고 있는 TISA 추진은 세계무역기구(WTO)의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이 지지부지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2017년 12월 초 1차 타결을 목표로 했던 TISA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정부의 갑작스러운 협의 보류 통보로 급제동이 걸렸다.

  • 대재해 채권[catastrophe bond, cat bond]

    지진과 쓰나미, 홍수 등 재산상 큰 피해가 예상되는 자연재해에 대비해 발행하는 보험연계증권...

  • 다이옥신[dioxine]

    베트남 전쟁 때 사용된 고엽제의 한 성분으로 ‘인간이 만든 화학물 중 가장 독성이 강한 물...

  • 데이터 3법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을 말한다. 2018년 11월 데이터산업 활성화를 ...

  • 도시디자인

    도시경관의 보전·개선을 위해 도시건축물 등 도시공간, 도시시설물의 형태·윤곽·색채·조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