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분보증제

 

그동안 담보가 없거나 금융기관의 까다로운 대출조건을 맞추지 못한 기업은 신용보증기관으로부터 전액보증을 받아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렸다. 부분보증제는 이같은 제도를 응용해 신용보증기관이 대출금의 일정부분만 보증하고 나머지는 금융기관이 신용으로 빌려주는 제도다.
금융기관은 자체 신용평가를 통해 대출하기 때문에 여신심사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 입장에선 보증수수료가 줄고 보증기관도 전액보증을 설 때보다 지원자금에여유가 생겨 더 많은 중소기업에 보증을 서줄 수 있다.

  • 부외금융

    리스 계약과 같이 회사의 대차대조표상의 자산, 부채 어느 계정에도 나타나지 않는 자본조달 ...

  • 불 트랩[bull trap]

    주식, 암호화폐, 원자재등 특정 자산 차트에서 보이는 캔들 패턴 중 하나로 투자자들이 강세...

  • 브릭스 펀드[BRICs Fund]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브릭스 국가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의 주식이나 채권에...

  • 방문판매[house to house selling]

    가정에 있는 예비고객을 방문하여 직접 판매하는 방식.방문판매는 판매자에게 낮은 비용과 무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