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분보증제

 

그동안 담보가 없거나 금융기관의 까다로운 대출조건을 맞추지 못한 기업은 신용보증기관으로부터 전액보증을 받아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렸다. 부분보증제는 이같은 제도를 응용해 신용보증기관이 대출금의 일정부분만 보증하고 나머지는 금융기관이 신용으로 빌려주는 제도다.
금융기관은 자체 신용평가를 통해 대출하기 때문에 여신심사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기업 입장에선 보증수수료가 줄고 보증기관도 전액보증을 설 때보다 지원자금에여유가 생겨 더 많은 중소기업에 보증을 서줄 수 있다.

  • 발생주의[accrued basis]

    회계처리시 현금 출납이 없더라도 가격 상승이나 하락분을 순자산 변동으로 처리해 재무제표에 ...

  •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지불 및 수불 관리,보수관리 등의 비핵심적 업무와 생산측면에서의 비핵심 분야를 계약을 통해...

  • 변형근로시간제

    회사가 사규에 변형근로시간제 조항을 만들면 2주 범위내에서 일이 많은 1주는 48시간을 근...

  • 비중확대[overweight]

    증권 애널리스트들이 업종에 대한 투자의견을 제시할 때 업종 가중평균수익률이 향후 6개월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