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험기준자기자본제도

[risk-based capital, RBC제도]

RBC 제도는 보험사가 보유한 자산과 부담하는 리스크를 기준으로 최소한의 자기자본(요구자본)을 산출하고, 실제 자본과 비교하여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제도다. 1999년 도입돼 2022년까지 운영되었으며, 2023년부터 K-ICS로 전환되었다.

RBC는 ‘위험기준 자본제도’로, 보험사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위험 수준에 따라 필요한 자본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자산과 부채를 원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일부 리스크는 단순 가중치 방식으로 반영해 실제 위험 반영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금융당국은 국제기준에 부합하고 정교한 리스크 반영이 가능한 K-ICS 제도를 2023년부터 도입했다.

관련어

  • 유닉스[UNIX]

    1969년 미국 AT&T의 벨 연구소에서 켄 톰슨(Ken Thomp son)의 주도하에 개...

  • 완전자율주행[full self-driving, FSD]

    테슬라가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차량이 ...

  • 안티에이징[anti-aging]

    노화 방지'' 또는 ''항노화''의 뜻을 갖는 용어. 넓게는 노화방지용 화장품이라는 의미로...

  • 오픈IPTV[open IPTV]

    사업자나 단체뿐만 아니라 일반 개인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IPTV 플랫폼을 통해 원하는 동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