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위험기준자기자본제도

[risk-based capital, RBC제도]

보험·금리·시장·신용· 운용리스크 등 보험사가 가진 각종 위험을 정밀히 측정해 갑작스런 손실이 발생했을 경우 이에 상응하는 자기자본을 보유하도록 요구하는 제도다. 리스크 대비 자본비율이 100%에 못 미칠 경우 금융감독 당국으로부터 적기 시정조치 지시를 받게 된다.

가용자본(지급여력금액)을 요구자본(지급여력기준금액)으로 나누어 RBC비율을 산출한다.


RBC 비율을 높이려면 회사채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를 줄이고 자산운용을 장기 및 국고채 위주로 바꿔야 한다. 2011년 4월부터 전면 도입됐다.

2023년부터는 IFRS17의 도입과 함께 RBC비율이 사라지게된다. 그 자리를 자산과 부채를 시가로 평가하는 총 재무제표방식을 기반으로 보험회사에 내재된 각종 리스크량을 요구자본으로 산출하고, 이에 상응하는 가용자본을 보유하도록 감독당국이 요구하는 신지급여력제도인 K-ICS가 대체하게 된다.

관련어

  • 여신전문금융채권

    신용카드사,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은행, 상호금융 등 예금취급기관과는 달리 수신기능...

  •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말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 일본화[Japanification]

    우리나라나 미국, 유럽 등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보였던 국가들이 일본경제의 특징인 "장...

  • 이해충돌방지법

    공직자가 직무를 수행할 때 공적이익과 자신의 사적 이익이 충돌할 때 사적 이익추구를 금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