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득인정액

 

소득인정액은 기초생활수급자 선정과 각종 사회복지 급여 지급 기준이 되는 핵심 지표다.

집이나 자동차 등 가구의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해, 근로·사업 등 실제 월소득과 합산한 금액을 의미한다.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할 때는 대도시 거주자는 1억 3,500만 원, 중소도시와 농어촌은 각각 8,500만 원, 7,250만 원까지 일정 금액을 공제한 뒤, 남은 재산에 연 4%의 환산율을 적용한다.

단, 고가의 자동차나 골프회원권 등은 일반재산에서 별도로 분리해, 그 가액 전액을 소득인정액에 더한다.

소득인정액 = 월소득평가액(실제소득) + 재산의 월소득환산액

관련어

  • 산학협력기술지주회사

    대학이 보유한 기술 및 연구 성과의 사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산학협력단이 학교가 보유하고 ...

  • 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s, HACCP]

    식품의 원료관리에서 제조, 가공 및 유통에 이르기 까지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 사이먼 테일

    영국 케임브리지대 경제학과 교수로 세계적 에너지 경제학자이다. 바클레이즈와 JP모간 등에...

  • 사이버 마케팅[cyber marketing]

    컴퓨터가 제공하는 통신환경인 사이버 스페이스(cyber space)라는 가상공간 속에서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