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경기순응성

[procyclicality]

금융시스템이 경기변동을 증폭시킴으로써 금융불안을 초래하는 금융과 실물 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의미한다. 경기 상승기에는 자산가격 상승, 위험선호도 증가에 은행 대출이 증가하면서 잠재 금융부실이 확대된다. 반면 경기 하강기에는 실물활동 위축, 자산가치 하락, 위험회피 성향으로 은행 대출이 급감하면서 금융부실이 가시화된다. 경기순응성은 국제간 자본 흐름에도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선진국 자본 유출입이 신흥국 경기변동을 증폭시키는 현상이 발생된다. 급격한 자본 유입은 신흥국의 통화 팽창, 자산가격 상승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다 자본 유출로 돌변할 경우 주가 급락, 환율 급등 등으로 거시경제 변동성이 증폭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정형화된 사실이다.

  • 기대여명

    특정 시점에서 앞으로 더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

  • 고아계약[orphan policy]

    보험계약을 모집한 설계사의 이직이나 퇴직등으로 계약자 관리가 되지않는 계약을 말하고 해당 ...

  • 기술자산 신탁

    기술자산의 관리나 처분을 신탁회사에 맡기고 신탁회사는 위임 받은 기술자산을 이용하거나 처분...

  • 고객확인제도[customer due diligence system]

    금융회사가 고객의 신원, 거래 목적, 실제 소유자, 자금 출처 등을 확인·기록·모니터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