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장결정적 환율

 

시장결정적(market determined) 환율이란 환율 분쟁의 해법으로 2010년 10월 23일 경주 재무장관 회의 때 코뮈니케(공동선언)에 포함된 문구다. 2010년 6월 토론토 정상회의에서는 ''환율 결정을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뜻에서 ''시장 지향적 환율''이란 용어를 썼는데, 경주 회의에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정부의 환율시장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시장 결정적 환율''로 표현을 바꿨다.

하지만 이에 대한 해석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합의문에 나온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한 시장 결정적 환율''이란 표현을 근거로 환율이 단기 수급에 의해 펀더멘털과 무관하게 급변동할 때는 정부가 적극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인위적으로 환율을 조작하지 않아야 하지만 과도하게 움직이는 것에 대해서는 정부가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해석이다.

  •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존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의 콘텐츠를 만드는 인공지능 기술을 ...

  • 수출보험제도

    기업이 수출, 해외투자, 해외건설수주 등 대외거래를 하면서 대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경우에 ...

  • 생산자책임재할용제도[生産者責任再活用制,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는 제품 및 포장재 생산자에게 폐기물에 대한 일정량의 재활용 의...

  • 슈퍼 사이클[supe-cycle; commodities super-cycle]

    슈퍼사이클은 원자재 등 특정 자산의 가격이 20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상승세를 지속하는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