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베이시스 포인트

[basis point, bp]

이자율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최소의 단위.

1%는 100bp이고 1bp는 0.01%다.

예컨대 액면 이자율이 10%인 채권이 가격하락으로 실질수익률이 10.5%가 됐을 경우 액면 이자율보다 50bp 높아졌다고 말한다.

담보·채권·어음 등의 산출을 견적할 때 쓰인다. 0.05%이면 5 basis points 또는 5 bps라고 부른다. 실제 금융상품 거래에서는 0.05%라고 부르거나 적는것보다 5bp라고 말하고 기록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국가간 채권 및 리보금리 등 금리변동을 말할 때 대부분 bp를 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도 자금을 차입하고 대출할 때 사용하는 금리를 런던은행간금리(LIBOR)에 가산금리(주로 bp로 표시)를 더해 정한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금리를 BP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돈의 수급이 안정된 상태에서 빌리는 측이나 빌려주는 측 서로간에 한푼이라도 이자를 덜 내거나 더받으려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들이 금리를 1BP라도 더받거나 덜 내려는 경쟁을 가리켜 `BP전쟁''이라고 한다.

관련어

  • 동의어bp
  • 블루스카이 연구[blue sky research]

    블루스카이 연구는 분명한 목적이 없는 연구 또는 순수한 호기심과 아이디어에서 비롯된 기초연...

  • 보증보험[guarantee insurance]

    채무 불이행인 경우 채권자의 손해를 보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채무자가 채권자를 피보험자...

  • 비토크라시[Vetocracy]

    거부'를 뜻하는 '비토(Veto)'와 '민주주의(Democracy)'의 합성어로, 상대 정...

  • 바겐 헌팅[bargain hunting]

    기업가치에 비해 주가가 지나치게 떨어진 주식을 사는 저가매수행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