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bp

[basis point]

이자율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최소의 단위.

1%는 100bp이고 1bp는 0.01%다.

예컨대 액면 이자율이 10%인 채권이 가격하락으로 실질수익률이 10.5%가 됐을 경우 액면 이자율보다 50bp 높아졌다고 말한다.

담보·채권·어음 등의 산출을 견적할 때 쓰인다. 0.05%이면 5 basis points 또는 5 bps라고 부른다. 실제 금융상품 거래에서는 0.05%라고 부르거나 적는것보다 5bp라고 말하고 기록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국가간 채권 및 리보금리 등 금리변동을 말할 때 대부분 bp를 쓴다.

국제금융시장에서도 자금을 차입하고 대출할 때 사용하는 금리를 런던은행간금리(LIBOR)에 가산금리(주로 bp로 표시)를 더해 정한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금리를 BP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돈의 수급이 안정된 상태에서 빌리는 측이나 빌려주는 측 서로간에 한푼이라도 이자를 덜 내거나 더받으려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들이 금리를 1BP라도 더받거나 덜 내려는 경쟁을 가리켜 `BP전쟁''이라고 한다.

관련어

  •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미국 퀄컴(Qualcomm)사가 부호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이동 통신용으로 개...

  • B2B공유사업

    B2B 거래에 필요한 부가기능과 서비스ㆍ프로세스를 하나의 통합플랫폼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비...

  • BBIG7

    2020년 코로나 19 발발이후 증시의 주도주로 떠오른 바이오, 배터리, 인터넷, 게임 섹...

  • Balanced Score Card[BSC]

    기업의 새로운 전략관리·성과평가 시스템으로 조직의 사명과 전략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