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한이익상실

[trigger clause]

금융기관이 채무자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경우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채무자가 원금이나 이자를 연체할 경우, 담보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하고 부채비율이 높아지는 경우 금융기관은 대출을 회수하게 된다.

금융회사는 일반적으로 신용대출의 경우 30일, 주택담보대출일 경우 60일 이상 원리금을 갚지 못하면 채권자에게 원금 전체를 바로 갚으라고 요구한다. 기한이익상실 처리가 되면 곧바로 남은 대출금 전체에 대해 연 3%포인트의 연체 가산이자가 붙는다.

  • 국제철도협력기구[Organization for Cooperation of Railways, OSJD]

    1956년 결성된 옛 소련 및 동유럽권 국가들 간의 철도부문협력기구. 러시아와 중국, 북한...

  • 경제고통지수[economic misery index]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적인 삶의 질을 수치로 나타낸 것으로 미국의 경제학자 오쿤이 착안...

  • 긴급조정권[emergency adjustment, emergency arbitration]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거나 국민경제에 커다란 양향력이 있는 사업장에 노동쟁의 행위가 발생할 ...

  • 그린 본드[green bond]

    자금 사용 목적이 재생에너지, 전기차, 고효율 에너지 등 친환경 관련프로젝트 투자로 한정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