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나이키 커브

[Nike Curve]

단기간에 급속히 깊게 침체됐던 경기가 완만하게 상승하는 형태. 스포츠 용품업체 나이키의 로고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는 2008년, 전 세계적 금융위기로 급락했던 경기가 저점을 찍고 회복 국면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V자형으로 급속히 회복하지도 않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현상은 두 가지 주요 이유로 발생한다. 첫째는 경제 침체가 여러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지만 회복은 주로 정부의 경제 부양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 부양책은 단기적으로는 한계가 있으나 장기적으로 경제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경제 침체는 기업 파산, 실업률 증가 등으로 경제 구조에 변화를 가져오며 이는 회복을 늦출 수 있다. 나이키 커브는 금융위기 이후 여러 경제 상황에서 사용됐고,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침체도 이를 통해 설명됐다.

그러나 이 개념이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회복 양상은 경제 침체 원인, 정부 부양책, 경제 구조 변화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 노란딱지

    선정성과 폭력성, 정치적 편향성 등 유튜브 운영 기준에 위배되는 콘텐츠에 붙는 노란색 달러...

  • 남중국해[South China Sea]

    태평양의 일부로 중국 남부와 필리핀, 인도차이나반도, 보르네오섬 등으로 둘러싸여 있는 바다...

  • 내수출하지수

    제조업체에서 직접 생산한 제품을 국내판매업체, 타사업체, 기관, 단체, 개인 소비자 등에 ...

  • 네옴[Neom City]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2017년 10월 24일(현지시간) 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