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융안정위원회

[Financial Stability Board, FSB]

세계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1999년 4월 선진7개국 (G7)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 등이 모여 설립한 금융안정화포럼(Financial Stability Forum ; FSF)을 2009년 4월 G20 런던 정상합의에 따라 확대 개편해 새로 출범한 기구. 바젤위원회와 협력해 국제 금융감독기준을 만드는 또 다른 국제기구다.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G-7, 네덜란드, 스위스, 호주, BRICs, 멕시코 등 총 24개국 52개 기관이 회원사이며 각국 중앙은행 총재와 금융감독기관장들이 참석한다.

FSB는 세계적 금융위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대형 은행(G-SIBs) 선정 및 규제 △은행 자본·유동성 규제 △장외파생상품 시장 개혁 등의 일을 수행하고 있다. FSB는 2011년 12월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등 세계 29개 대형 은행을 G-SIBs로 선정한 바 있다.

  • 가중산술평균주가

    특정 기간 동안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해당 종목의 총 거래금액을 총 거래량으로 나눈 가격을 ...

  • 급여 항목

    국민건강보험에서 의료비 일부를 지급하는 진료나 치료 항목을 뜻한다. "급여"는 본래 ...

  • 공의결권[空議決權]

    빌린 주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의미다. 주식 소유에 따른 경제적 위험은 지지 않고 주주...

  • 가용 외환보유액[usable foreign exchange reserve]

    가용 외환보유액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액 중 즉시 활용 가능한 부분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