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용 외환보유액

[usable foreign exchange reserve]

가용 외환보유액은 정부와 중앙은행이 보유한 외환보유액 중 즉시 활용 가능한 부분을 말한다.

한 나라의 통화당국이 대외지급준비를 위해 보유한 외화자산을 외환보유액이라 한다. 외환보유액은 정부(외국환평형기금)와 한국은행이 갖고 있는 보유외환(외국통화 해외예치금 외화증권), 해외 및 국내 보유금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국내금융기관 해외점포에 예치된 외화자산을 뺀 것이 가용외환보유액이다.

외환보유액은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대외지급에 사용할 수 있는 유동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 금융기관이 해외점포에 예치한 외화자산은 해당 점포에서 대출 등으로 운용하기 때문에 긴급히 회수하는 일이 어렵다.

  • 금융자산[financial assets]

    금융거래에는 대차관계가 발생하게 되는데 금융자산이란 이때의 금융적 청구권을 말하며 금융시장...

  • 경매

    은행 등 금융기관이나 개인이 채권·채무 또는 국세체납 등으로 압류된 물건을 일반인에게 공개...

  • 공정공시[fair disclosure]

    공정공시는 상장법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 정보를 특정 소수에게만 제공하는 것...

  • 기간입찰대출[Term-Auction Facility, TAF]

    2007년 12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FRB)가 서브프라임 사태로 발생한 신용경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