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을 위험자산으로 나눈 것이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다. 이때 자기자본은 ''기본자본(Tier 1)''과 ''보완자본(Tier 2)''으로 구성된다. 기본자본은 자본금 내부유보금 등 실질 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반면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을 말한다.
보완자본을 뺀 기본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지표가 기본자본비율이다. 통상 자기자본비율 10% 이상,기본자본비율이 8% 이상이면 우량 은행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2008년 말 금융당국은 각 은행에 이를 2009년 1월까지 9%까지 높이도록 요구했다. 기본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유상증자나 배당 억제 등이 대표적이다. 부채와 자본의 성격이 혼합된 하이브리드채권을 발행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금융 세이프가드[financial safeguard]
금융 세이프가드는 외환위기와 같은 긴급한 시점에 급격한 외환 유출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말한...
-
글래스-스티걸법[Glass-Steagall Act]
미국이 은행들로 하여금 상업은행이나 투자은행 업무 중 하나만 할 수 있도록 한 법. 미국...
-
가격제한폭[price fluctuation ceiling]
주식 가격 제한폭은 전일 대비 주가가 오르내릴 수 있는 한계 범위를 정해 놓은 것이다. ...
-
균등세[equalisation tax]
기업 이익이 아니라 매출에 세금을 부과해 조세회피를 어렵게 하는 세금. 구글, 아마존, 에...